본문으로 건너뛰기

비밀번호 정책 설정

문서 목적

이 문서는 "비밀번호 정책 설정(Password Policy Setup)" 기능의 개념과 설정 방법을 안내하는 문서입니다.

개요

Freshservice에서는 상담원과 요청자를 위한 다양한 수준의 비밀번호 보안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비밀번호는 최소 8자 이상이어야 하며 사용자명을 포함해서는 안 됩니다.

고급 설정을 통해 비밀번호 만료 시간이나 최소 비밀번호 길이와 같은 맞춤 비밀번호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상담원/요청자가 접근하는 데이터가 민감할수록 더 엄격한 비밀번호 규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SSO 사용 시 제한사항

SSO(Single Sign-On)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비밀번호 정책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

비밀번호 정책 설정 단계

1단계: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관리자 권한으로 서비스 데스크에 로그인합니다.

2단계: 서비스 데스크 보안 설정 접근

단일 워크스페이스인 경우: 관리자 → 계정 설정 → 서비스 데스크 보안으로 이동합니다.

다중 워크스페이스인 경우: 관리자 → 글로벌 설정 → 계정 설정 → 서비스 데스크 보안으로 이동합니다.

3단계: 기본 로그인 정책 수정

  1. 기본 로그인 정책(Default Login Policy) 섹션에서 현재 로그인 정책을 확인합니다.
  2. 기본 로그인 정책 옆의 편집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서비스 데스크 보안 설정

4단계: 로그인 방식 선택

새 페이지에서 기본 로그인 정책 아래에서 다음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Freshworks 로그인 - Freshworks 조직 내에서 비밀번호 정책 설정 가능
  • 비밀번호 없는 로그인 - 비밀번호 없이 로그인 (이메일 인증 등)
  • Google SSO -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
  • Single Sign-On - 외부 SSO 시스템 연동

라디오 버튼을 사용하여 각 옵션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5단계: 변경사항 저장

설정을 완료한 후 저장을 클릭합니다.

Freshworks 로그인 설정

Freshworks 로그인 선택 시

Freshworks 로그인을 선택하면 Freshworks 조직 내에서 비밀번호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Freshworks Neo 관리 센터 내의 SSO와 같은 기능입니다.

Freshworks 로그인 정책

정책 적용 시점 선택

Freshworks 로그인을 활성화할 때 현재 정책이 언제 적용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정책 적용 옵션

적용 시점 옵션:

  • 즉시 적용: 설정 저장과 동시에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
  • 다음 로그인 시: 사용자가 다음에 로그인할 때 적용
  • 지정 날짜: 특정 날짜부터 적용

비밀번호 정책 유형

기본 비밀번호 요구사항

기본 설정:

  • 최소 8자 이상
  • 사용자명 포함 금지
  • 영문자, 숫자 조합 권장

고급 비밀번호 정책 옵션

강도별 정책 설정

보안 수준최소 길이복잡성 요구사항만료 주기
기본8자영문 + 숫자없음
보통10자영문 + 숫자 + 특수문자90일
높음12자대소문자 + 숫자 + 특수문자60일
매우 높음14자대소문자 + 숫자 + 특수문자 + 금지 패턴30일

비밀번호 복잡성 규칙

필수 포함 요소

권장 조합:

✅ 올바른 예시:
- MyCompany2024!
- ServiceDesk@123
- Team$ecure9876

❌ 잘못된 예시:
- password123 (일반적인 단어)
- company (너무 단순)
- 12345678 (숫자만)

금지 패턴

사용 불가 패턴:

  • 연속된 문자: abcd, 1234
  • 반복 문자: aaaa, 1111
  • 키보드 패턴: qwerty, asdf
  • 사용자 정보: 이름, 이메일 일부
  • 회사 정보: 회사명, 부서명

로그인 방식별 특징

1. Freshworks 로그인

특징:

  • Freshworks 생태계 내 통합 인증
  • 비밀번호 정책 중앙 관리
  • 다른 Freshworks 제품과 SSO

장점:

  • 일관된 사용자 경험
  • 통합 보안 관리
  • 간편한 계정 관리

적용 시나리오:

  • 여러 Freshworks 제품 사용
  • 중앙 집중식 사용자 관리 필요
  • 보안 정책 통일 필요

2. 비밀번호 없는 로그인

특징:

  • 이메일 기반 인증
  • 일회용 로그인 링크
  • 비밀번호 관리 부담 제거

장점:

  • 비밀번호 분실 위험 없음
  • 피싱 공격 방지
  • 사용자 편의성 향상

적용 시나리오:

  • 보안성과 편의성 균형
  • 외부 사용자 접근
  • 임시 계정 관리

3. Google SSO

특징:

  • Google 계정 연동
  • Google Workspace 통합
  • 2단계 인증 지원

장점:

  • 기존 Google 계정 활용
  • 강력한 보안 기능
  • 간편한 설정

적용 시나리오:

  • Google Workspace 사용 조직
  • Gmail 기반 업무 환경
  • Google 보안 정책 활용

4. 외부 SSO

특징:

  • 기업 SSO 시스템 연동
  • SAML/OIDC 프로토콜 지원
  • 기존 인프라 활용

장점:

  • 기업 보안 정책 준수
  • 기존 시스템과 통합
  • 중앙 집중식 관리

적용 시나리오:

  • 대기업 환경
  • 엄격한 보안 요구사항
  • 기존 SSO 인프라 보유

보안 모범 사례

비밀번호 정책 수립 가이드

1. 위험 평가 기반 정책 설정

평가 요소:

  • 접근 가능한 데이터의 민감도
  • 사용자 유형 (내부/외부)
  • 업무 환경 (원격/사무실)
  • 규정 준수 요구사항

2. 단계적 보안 강화

권장 순서:

  1. 1단계: 기본 길이 및 복잡성 요구사항 설정
  2. 2단계: 만료 주기 및 재사용 제한 추가
  3. 3단계: 다단계 인증(MFA) 도입
  4. 4단계: 위험 기반 인증 적용

사용자 교육 및 지원

비밀번호 생성 가이드

권장 방법:

1. 패스프레이즈 방식:
"내가좋아하는음식은김치찌개2024!"

2. 첫 글자 조합 방식:
"My Favorite Food Is Pizza 2024!" → MFFiP2024!

3. 치환 방식:
"ServiceDesk" → S3rv1c3D3sk!

비밀번호 관리자 도구 권장

추천 도구:

  • 1Password: 팀 기능 강화
  • LastPass: 기업용 정책 지원
  • Bitwarden: 오픈소스 기반
  • Dashlane: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정책 적용 및 모니터링

정책 적용 시나리오

신규 도입 시

단계적 접근:

  1. 공지 단계: 정책 변경 사전 공지 (2주)
  2. 유예 단계: 경고만 표시 (1주)
  3. 강제 단계: 정책 강제 적용
  4. 지원 단계: 사용자 지원 및 문제 해결

기존 정책 변경 시

변경 관리:

현재 정책: 8자, 영문+숫자
→ 변경 정책: 10자, 영문+숫자+특수문자

적용 계획:
1. 신규 사용자: 즉시 적용
2. 기존 사용자: 다음 비밀번호 변경 시 적용
3. 관리자: 2주 내 강제 변경

정책 준수 모니터링

모니터링 지표

측정 항목:

  • 정책 준수율
  • 비밀번호 변경 빈도
  • 로그인 실패율
  • 계정 잠금 발생률

보고서 생성:

  • 주간 보안 현황 보고서
  • 월간 정책 준수 현황
  • 분기별 보안 위험 평가

문제 해결

일반적인 문제와 해결책

문제 상황원인해결책
정책 설정 메뉴가 보이지 않음관리자 권한 부족계정 관리자에게 권한 부여 요청
SSO와 비밀번호 정책 충돌SSO와 로컬 정책 동시 사용하나의 인증 방식만 선택
사용자가 정책 준수 비밀번호 생성 실패정책 이해 부족가이드라인 제공 및 교육 실시
정책 적용 후 로그인 실패 증가기존 비밀번호가 정책 미준수단계적 적용 및 지원 강화

긴급 상황 대응

대량 계정 잠금 발생 시

즉시 조치:

  1. 현황 파악: 잠금 계정 수 및 원인 분석
  2. 임시 완화: 정책 일시 완화 고려
  3. 대량 해제: 관리자 권한으로 계정 일괄 해제
  4. 근본 해결: 정책 재검토 및 조정

보안 사고 발생 시

대응 절차:

  1. 즉시 강화: 모든 계정 비밀번호 강제 변경
  2. 접근 제한: 의심 계정 일시 비활성화
  3. 정책 강화: 더 엄격한 정책 임시 적용
  4. 사후 조치: 보안 정책 전면 재검토

관련 문서